1만 시간의 법칙이란?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1만 시간 이상의 의도적인 연습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는 이론이다. 2008년에 '아웃라이어'라는 책을 쓴 말콤 글래드웰에 의해 일반인들에게 유명해진 이론이다. 1만 시간이면 하루에 서너시간을 투자할 경우 대략 10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10년 법칙'이라는 말로도 쓰인다.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은 미국 콜로라도 대하교의 K.앤더스 에릭슨이 1993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나왔다고 한다. 이를 말콤 글래드웰이 에릭슨의 연구를 요약하면서 유명해진 것이라고 한다.


이 빠마머리가 말콤 글래드웰이다.


하지만, 노력해도 안되는 게 있다.

나도 노력만 하면 전문가가 되고, 성공할 수 있을거라는 긍정적인 마음을 먹은 이들에게는 믿고 싶지 않은 이야기를 해보고자 하는게 이번 포스팅의 주제이다. 


"1만 시간 훈련한다고 누구나 리오넬 메시, 크리스타아누 호날두가 될 수는 없다!"

'스포츠 유전자(The Sports Gene)'의 저자인 데이비드 엡스타인은 '1만 시간의 법칙'이란게 실제로는 허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질'이 있는 인물이라면 짧은 시간에도 전문가가 될 수 있고, 그런게 아니라면 더 오랜 기간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만큼 각자의 자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훈련을 실시해야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사람이 스테판 홀름이다.


데이비드 앱스타인은 2004년 아테네올림픽 높이뛰기에서 금메달을 딴 스웨덴 선수 스테판 홀름으로 예를 들었다.

어려서부터 홀름은 2만 시간 이상을 훈련에 쏟아부었다. 하지만, 2007년 오사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그는 높이뛰기를 한 지 8개월밖에 안 된 바하마의 도널드 토머스 선수에게 패하고 말았다. 홀름이 토머스에게 패한 이유로 남보다 빠르게 배울 수 있는 유전자의 힘 면에서 홀름이 토머스에게 뒤진 것이라고 한다.


노력은 성과의 12%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 또 재밌는 연구를 한 학자가 있다. 미시간 주립대 교수 잭 햄브릭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교육, 전문 직업, 스포츠, 게임, 음악 등의 영역에서 지속적인 연습과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사를 했다. 

분석 결과로 꾸준한 훈련은 전체적으로 성과의 12%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성과의 88%는 지속적인 연습의 결과라고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게임, 음악, 스포츠의 경우는 각각 26%, 21%, 18%로 노력의 영향력이 다소 높았지만, 교육은 4%, 전문 직업은 고작 1%에 불과했다.



햄브릭 '1만 시간의 법칙'에서 주장하는 노력에 대한 중요도가 그리 높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는 시작하는 연령, 지능, 성격, 작업기억 능력 등이 노력보다 더욱 중요한 요소일 것으로 짐작된다고 하지만, 이는 향후의 연구로 증명되어야 할 얘기다. 

(관련 기사)


연구의 문제는 표본집단 구성의 한계 때문이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통계의 왜곡'에서 발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만 시간의 법칙은 엘리트 바이올린 연주자를 대상으로 산출한 '평균치'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1만 시간의 법칙을 믿는 수 많은 '일반인' 들에게는 미안하지만, 그 연구 자체가 '엘리트'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누구나' 1만 시간을 투자해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얘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런 통계의 왜곡에 대한 것은 농구로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비교하면 큰 키와 득점력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하지만 미국 프로농구 (NBA) 선수들로 제한했을 경우에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온다. 


키 160cm로 활약한 선수도 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허구인가?

자, 이러 저러한 이야기들을 풀어놨으니 이제 정리를 해보자. 말콤 글래드웰의 '1만 시간의 법칙'은 과연 거짓이고, 허구인걸까?

거짓도 아니고, 허구도 아니다.  '노력'이라는 행위는 전문가가 되기 위한 과정의 요소임에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법칙이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통계가 명백히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중은 이 사람들의 주장을 다시 한번 자기식으로 해석하면서 뜻이 왜곡된 듯 하다.

그렇다면 '1만 시간의 법칙'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1. 전문가가 되려면 '노력'이 필요하지만 그것이 필요 1순위는 아니다.

2. 애초에 재능이 없으면 1만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그다지 효과가 없다.

3. 재능 이외에도 여러가지 환경 요건에 따라서 효과는 극과 극이 될 수 있다.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은 '누구나' 1만 시간을 '무엇에든' 투자를 하면 전문가가 될 수 있는게 아니다. 잠재된 능력을 최고치로 이끌어 내는 데 필요한 시간이 평균적으로 '1만 시간' 이라는 통계이다. 피아노에 재능도 없던 중년의 남자가 갑자기 하루에 서너시간씩 피아노를 배운다고 해서 10년뒤에 예술의 전당에서 연주할 실력이 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이라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