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와 지렁이


1978년에 미국에서는 맥도날드 햄버거 패티에 지렁이 고기가 들었다는 소문이 퍼졌다.  누가 시작한 소문인지, 누가 퍼뜨리고 있는지 감을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미국 전역에 파다하게 퍼져나가고, 맥도날드의 매출은 곤두박질치게 되었다. 하긴, 내가 군대있을 때 군대리아 패티에 닭대가리를 넣었다는 근거없는 괴소문도 있었고, 맛스타에는 정력감퇴제가 들었다는, 지금 생각해보면 어이없는 소문들도 있었다. 여튼, 이러한 소문이 있는데 누가 맥도날드 햄버거를 쉽게 사먹을 수 있겠는가!  맥도날드는 창업 이래 최대의 위기라 불릴 만큼 매출이 급감했다고 한다.


당연히 맥도날드에서는 소문이 사실이 아니라는 공식 발표도 하고, 과학적으로 입증을 해보이기도 했지만, 여전히 매출은 회복되지 않았다. 어떠한 누가 "카더라" 하면 그 이미지가 프레임으로 씌워져 원본을 생각하면 자연스레 프레임에 갇힌 사고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사회과학, 심리학에서 많이 쓰이는 "프레임 효과" 라고 하는 것이다. 실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니 알아두는게 좋다. (자세한 사례는 2편에 따로..)





코끼리를 생각하지 마!

이 주장에 대해 조지 레이코프라는 버클리 대학 교수는 '인지과학 입문' 강의 시간에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해 증명해냈다. 

과제는 바로 "코끼리를 생각하지 않는 것" 이다. 그런데 이 과제에 성고한 학생은 단 한 명도 없다고 한다. 코끼리를 생각하지 말라는 과제를 듣는 순간, 코끼리를 생각하지 않으려면 우선 코끼리를 떠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곧, 이 과제는 어떤 프레임을 부정하려면, 우선 그 프레임을 떠올려야 한다는 걸 깨우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맥도날드의 사례로 돌아와보자.

맥도날드에서는 아무리 사실을 알려도 대중의 머릿속에 있는 맥도날드 ↔ 지렁이의 연결고리는 끊어지지 않았다. 하다못한 맥도날드는 당시 지렁이 고기가 소고기보다 더 비쌌다는 사실에서도 입증된다는 걸 내세우기까지 했다. 그리고 일부 매장에서는 "우리 매장 햄버거에는 지렁이 고기가 들어있지 않습니다." 라는 팻말까지 써 붙여 놓았다.



프레임의 전환

맥도날드는 사회과학자들을 동원해 이를 돌파할 대책을 연구했다. 두 개의 방에 같은 수의 햄버거 소비자를 넣어둔다. 이 사람들은 모두 맥도날드와 지렁이 고기의 소문에 대해 동일한 정도로 알고있다. 

그리고 첫 번째 방에서는 맥도날드 햄버거에 지렁이가 들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입증됐다고 사람들에게 알려줬다. 두 번째 방에는 맥도날드 햄버거에 대한 언급은 전혀 하지 않은 채, 한 사람이 일어나 모두에게 얼마 전 갔던 고급 프랑스 식당에서 먹었던 요리에서 지렁이 고기가 발견됐다는 이야기를 해줬다.


놀랍게도 실험이 끝난 뒤 두 번째 방에 있던 사람들이 맥도날드 햄버거에 가지고 있는 거부감이 첫 번째 방보다 훨씬 큰 폭으로 줄었다고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지렁이고기" 가 긍정적 이미지이며 고급요리인 "프랑스 요리"와 연결되자 너무 큰 충격을 받은 나머지 값싼 패스트푸드에 불과한 햄버거는 잊어버리기 시작했다는 얘기다. 또한 과학적으로 입증된 수치보다 바로 옆 사람이 얘기해 주는 경험이 사람들에게 훨씬 더 큰 인상을 남겨준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결국 맥도날드는 한동안 햄버거 대신 감자튀김과 밀크쉐이크에 마케팅을 집중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광고에서 햄버거가 사라지고 감자튀김과 밀크셰이크가 나타났다. 물론 이제 지렁이 고기에 대한 언급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리고 나서야 이 괴소문을 극복하고 매출을 회복할 수 있었다.


( * 아마 이때부터 감자튀김을 밀크쉐이크에 찍어먹으면 맛있다는 소문이 돌았나부다... 존맛~)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