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는 내가 본 영화들을 하나 하나 기록을 해보기 시작했다.
보통 영화는 출퇴근 시간을 활용해 휴대폰으로 보는데, 구글 영화에 내가 투자한 돈만 해도 이젠 꽤나 될 듯 하다. 영화관에서 본 영화는 매드맥스와 간신 딱 두개..
역시 애를 낳고 나니, 영화관에서 영화를 즐기기가 매우 어려워졌다.
마음 같아서는 한편, 한편 보고나서 모든 감상평을 쓰고 싶지만 그러기엔 내 여건이 부족하여 (시간이 부족하기도 하지만, 글을 쓰고 편집하는 데 드는 필력이 딸리는게 문제다.) 한줄평 정도의 감상평만 남겨놓았다.
올 해 상반기에는 총 34편의 영화를 관람했다. 한달에 평균적으로 5.7편의 영화를 본 셈이다. 애 낳기 전에는 영화관에서도 보고, 휴대폰으로도 보고 했으니 더 많이 봤을텐데, 내 생각보다 적게 본 것에 나름 아쉬운 점이 있다.
여기에 기재된 별점과 평점은 지극히 내 개인적인 주관에 의해 작성된 수치이니, 객관적인 잣대를 들이대지 말자. 전반적으로 별점을 매기고 보니 가족 이야기에 주관적인 별점이 반개 정도는 더 투영된 것 같다. (난 따뜻한 가족영화를 좋아한다.) 나중에 이 기록이 좀 많아지고 나면 내가 어떤 감독을 좋아하는지, 어떤 배우들을 좋아하는 지도 알 수 있겠지만, 지금까지의 기록으로 판단하기엔 좀 무리가 있지 않나 싶다.
별 갯수에 따른 영화 편수
총 34편의 평균 평점은 2.65 / 5.0 점이다. 나름대로 3.0을 중간점수로 생각하고 점수를 매겼는데 다소 짠 평균이 나왔다. 별의 갯수에 따른 영화편수를 세어보니 최상위 그룹을 빼면 나름 골고루 점수를 주었다고 보여진다. 살짝 좋거나 혹은 나쁘거나,, 의 모습을 보이긴 하지만 말이다. 하반기에는 좀 더 별점이 높은 영화들을 많이 보게 되면 좋겠다.
조금 더 세분화된 기록을 보자.
한국영화와 외국영화로 나누었을 때, 놀랍게도 딱 절반인 17개 씩이다.
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이것만 봤을 때 고루고루 봤다는 느낌이 드는군.
평점에서는 한국영화와 외국영화의 차이가 조금 나온다.
각 분류별 평점
한국영화는 평점 2.3점을 기록한 반변, 외화는 3.0을 기록했다.
한국영화가 많이 발전했다 치더라도 고루고루 본다면 아직은 외화에 밀리는 수준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다음은 장르별 분석이다.
장르별 본 영화 편수
드라마(11편)을 봤고 액션(9편)이 그 다음을 잇는다.
대부분의 서사적 흐름에 따른 영화는 드라마로 분류되기 때문에, 드라마의 비중이 아무래도 높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드라마를 제하고 본다면 나는 액션과 코메디 장르를 즐겨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숨막히는 출퇴근 길에 화려한 액션이나, 잠깐의 웃음을 줄 수 있는 코메디 장르에 빠지는 것은 당연하다과 봐야 하지 않을까.
각 장르별 평점은 어떻게 내렸을까?
장르별 평점
애니메이션은 단 한편이었는데, '빅히어로' 로 평점이 4.0을 기록했다. 애니메이션을 제외하면 드라마가 평점 3.4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내가 많이 본 장르인 액션이나 코메디의 평점은 각각 2.6점과 1.8점을 기록하면서 다소 낮은 점수를 받았다. 그저 재밌게 본 영화와, 종합적인 면에서 매기는 평점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리하면서..
상반기에 본 영화들을 기록해보니 나름 재미있는 분석들이 가능한 것 같다. 기록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된 순간이었다. 이렇게 소소하게나마 기록을 해놓지 않았더라면 나는 1년만 지나도, 아니 반년만 지나도 이걸 봤었는지, 봤을 때 어떤 느낌이었는지 가물가물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잠이 덜 깬 채 회사를 향하는 출근길에, 시루떡이 되어 돌아가는 퇴근길에 나에게 힐링이 되어준 영화들이어서 소중하게 느껴진다. 나중엔 책도 이렇게 분석해봐야지.
'책과 영화 나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읽고 있는 책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1> (0) | 2015.09.02 |
---|---|
책, 이제는 서울도서관에서 빌려읽자 (2) | 2015.08.27 |
책 [템테이션], 성공과 표절에 얽힌 극작가의 단면 (2) | 2015.06.23 |
책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가슴 훈훈한 고민상담실의 기적 (0) | 2015.06.11 |
책 [싸드], 현 외교정세를 이용한 음모론을 만들었다. (0) | 2015.05.06 |